공공시설용지계획
공공시설용지계획
기본방향
- 시설별 유치거리 및 이용권을 고려하여 보행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용성ㆍ접근성을 향상
- 시설의 복합화 및 개방화를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 유도
- 사업대상지 종업원의 여가활동 및 쾌적한 근로환경에 적합한 후생복지 시설 유치
- 입주기업과 관련된 공공행정시설 및 산업단지 관리 운영에 필요한 공공기관 유치
계획
학교
- 생활권 인구 및 취학률을 감안하여 계획하되 통학권을 감안하여 분산 배치
- 건전한 통학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통학권 및 통학로 내에는 유해업소가 입지하지 않도록 배치
- 학교는 최근 취학률 및 향후 예상되는 취학아동 수를 감안하여 초등학교 3개교, 중학교, 고등학교가 각 1개교 신설
공공청사
- 산업입지원단위 및 산업단지개발업무편람의 산업시설 종업원수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시설별 소요개소수 및 면적 산정
- 주민센터는 정주공간 내에 1개소, 산업공간에 1개소를 배치하여 지역주민에 대한 공공행정업무 서비스를 제공
- 파출소는 정주공간에 1개소, 산업공간에 2개소를 배치하여 산업단지 치안 및 안전에 기여
- 119안전센터는 정주공간에 1개소를 배치
- 우체분국은 정주공간에 1개소를 배치하여 지역주민에 대한 우편행정업무 서비스를 제공하고, 산업시설 종사자를 고려하여 산업공간에 1개소를 업무시설과 인접하여 배치
- 보건지소는 정주공간 내에 1개소를 배치하여 산업시설 종사자 및 지역주민에 대한 의료보건업무 서비스를 제공
- 세무서, 세관, 노동부사무소, 중소기업청, 전신전화국, 산단관리기관 등은 관련기관 협의 후 계획에 반영
문화센터(에코센터-복합문화복지시설)
- 워터프론트와 유기적으로 연계된 문화ㆍ복지시설로서 새만금지구 산업단지의 상징적 랜드마크를 구현하고, 지역 명소화에 기여
-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미지 제고 및 복합문화ㆍ복지 프로그램의 구체화
- 복합문화복지시설, 주민교류시설, 체험교육시설, 신재생에너지 활용시설, 운동시설, 전망대, 도서관, 근린생활시설 등을 유치
공공시설 계획도
구분 | 시설수 | 면적(㎡)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
주차장 | 25개소 | 115,376 | ||
열공급설비 | 1개소 | 162,180.7 | ||
가스공급설비 | 2개소 | 24,026.1 | ||
전기공급설비 | 4개소 | 302 | ||
통신시설 | 1개소 | 115,376 | ||
학교 | 초등학교 | 3개소 | 37,775 | |
중학교 | 1개소 | 13,114 | ||
고등학교 | 1개소 | 14,040 | ||
공공청사 | 8개소 | 12,763 | ||
폐기물처리시설 | 1개소 | 157,598 | ||
오폐수통합이송펌프장 | 3개소 | 6,464.9 | ||
주유소충전소 | 5개소 | 10,766 | ||
에코센터 | 1개소 | 64,834 |
공급시설
- 사업대상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설비를 계획
- 사업대상지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전소를 계획
환경기초시설
- 사업대상지내 폐기물처리를 위한 폐기물처리시설 계획
- 사업대상지내 폐수처리를 위한 폐수종말처리장을 계획
- 산업단지 특성상 대형 화물차량의 통행이 많으므로 대형차량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, 세차장 및 자동차정비소와 같은 자동차 관련시설과 복합해서 설치 가능하도록 부지규모를 기준보다 크게 계획